D-day 3: I am Korean-American


Chapter 1 The First Wave of Korea Immigration
Chapter 2 Korean Picture Brides and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in America
Chapter 3 The Korean War and the Second Wave of Korean Immigration
Chapter 4 The Immigration Act of 1965 and a New Group of Korean Americans
Chapter 5 Striving for the American Dream and Korean Small Businesses
Chapter 6 Korean Churches in the United States
Chapter 7 Los Angeles Koreatown: Past and Present
Chapter 8 Korean Americans and Education
Chapter 9 Korean American Ethnic Identity
Chapter 10 Los Angeles Riots 1992 and the Remaking of Korean American Ethnic Identity


**Rightful credit goes to:**
© Korean American History
Hyeyoung Kwon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Chanhaeng Le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Stony Brook)
Korean Education Center in Los Angeles 2009

Chapter 8 Korean Americans and Education

Background:
Korean America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have been glorified and captured by numerous mainstream media headlines. For instance, a Los Angeles Times article in 1995 praised the high rate of Korean American enrollment at Harvard University. According to the report, more Korean Americans as a percentage of their total population were enrolled at Harvard than any other ethnic group.

Behind this apparent academic success, however, there is high pressure from Korean parents. Korean parents often attribute their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to their family honor. As a result, Korean American students often complain that they are under enormous pressure to get good grades. For example, many Korean American students express that a “B” for their parents is equivalent to an “F.” In extreme cases, the high expectations have resulted in suicide attempts by Korean American students. In this chapter, we will explore the reasons for these high expectations and pressure from Korean immigrant parents.

The parenting styles of Korean immigrants reflect the culture and social structure of Korean society. For example, Korean parents grew up witnessing fierce academic competition in their homeland. They are also heavily influenced by the long legacy of East Asian countries‟ imperial examination systems and Confucian values. Consequently, Korean immigrant parents often believe that educational success is an effective means for a stable life and promote their children‟s school achievement with training styles of parenting.

For many Korean immigrant parents, their children‟s academic performance is considered to be a sign of their own parenting ability. Accordingly, Korean parents tend to sacrifice more for their children compared to other racial groups and exercise greater supervision over their children‟s educational issues, ranging from what universities they should attend and what majors they should choose to what kind of career paths they should follow. This is because many Korean parents see their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as a long-term family investment. As a result, many parents tend to make their children feel guilty and shameful about their sacrifices whenever they do not meet their high expectations.

While many Korean immigrant parents are optimistic about their children‟s future in the United States and have high expectations for them, they are also keenly aware of the racial discrimination associated with being Asian American. In fact, despite the relatively higher educational aspirations of Asian parents, the economic rewards for the educational investment of Asian Americans have been lower than those for Whites. For this reason, Korean parents pushed their children to enter the academic or professional fields such as engineering, science, and medicine, with the hopes that their children would escape racial discrimination in those career fields.

Rafe Esquith (center) and the “Hobart Shakespeareans” of the Hobart Elementary School, Los Angeles (Photo from the American Documentary)

Even countless commercial advertisements for cram schools (hagwŏn), displaying the exceptional educational backgrounds of the instructors, support the idea that education as well as credentials from prestigious universities will be critical in obtaining great jobs for their children. Korean American children, who are often praised and glorified by the mainstream media as academic superstars in American education, face ever-increasing pressure when their ethnic community supports the stereotypes. In general, Korean immigrant children recognize their parents‟ sacrifice and feel obligated to please them by becoming highly skilled professionals. In consequence, they tend to choose careers that would provide them with greater financial security and social status.

Nonetheless, high expectations among parents often produce internal conflicts in Korean children as they are torn between meeting their parents‟ expectations and pursuing their own interests and dreams. When Korean children fail in the eyes of their parents, it negatively influences children‟s emotional well-being.

Most of Korean parents, regardless of their class background, have high expectations for their children. However, the educational strategies used by Korean immigrant parents are not uniform. While many upper-middle class Korean parents can compensate for their children‟s limited proficiency in English by sending them to cram schools, working class parents living in low-income neighborhoods have a harder time turning their high educational expectations into reality due to their long working hours and limited access to financial resources. As a result, more children from working class backgrounds tend to resent their parents‟ unrealistic expectations and demands.

References
1. Fong, Timothy P. (1998). The Contemporary Asian American Experience beyond the Model Minority. NJ: Prentice Hall.
2. Kim, Eun Young (1993). “Career Choice among Second-generation Korean Americans: Reflection of a Cultural Model of Success.” Anthropology & Education Quarterly, 24: 224-248.
3. Lew, Jamie (2006). Asian Americans in Class: Charting the Achievement Gap among Korean American Youth. NY: Teachers College Press.
4. Sue, Stanley, and Okazaki, Sumie (1990). “Asian American Educational Achievements: A Phenomenon in Search of an Explanation.” American Psychologist, 45: 913-920.
5. Yoo, Paula (1992). “Troubled Waters.” A Magazine, 1(4): 53-54.

Click READ MORE for Korean Translation


© 미주 한인 역사
번역: 이찬행 (뉴욕주립대학교)
로스앤젤레스 한국교육원 2009

8장 미주 한인과 교육

배경:
미주 한인 학생들의 학업 성취는 눈부실 정도이며 수많은 주류 언론들의 주목을 받아 왔다. 예컨대, 1995년 로스앤젤레스 타임스는 하버드 대학 한인 학생들의 높은 등록 비율을 칭찬하는 기사를 내보낸 바 있다. 이 보도에 따르면 인구 대비 미주 한인의 하버드 대학 등록 비율은 다른 어떠한 에스닉 집단들보다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이러한 외관상의 학문적 성공 뒤에는 자녀들에 대한 한인 부모들의 커다란 압박이 존재한다. 한인 부모들은 종종 자녀들의 학문 성취를 가족의 명예와 결부시킨다. 따라서 한인 학생들은 좋은 성적을 받아야만 하는 엄청난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고 불평하곤 한다. 예를 들어 한인 학생들에 따르면 “B” 학점은 부모들에게는 “F” 학점과 마찬가지이다. 극단적인 경우 부모들의 과도한 기대는 한인 학생들의 자살로 이어지기도 한다. 이번 장에서는 자녀들에 대해 한인 부모들이 보여주는 높은 기대치와 압박의 원인을 검토한다.

한인 부모들의 자녀 양육 스타일은 한국 사회의 문화와 사회적 구조를 반영한다. 예를 들어 한인 부모들은 한국에서 치열한 경쟁을 보면서 자랐다. 그들은 또한 동아시아 국가들의 과거 제도와 유교 가치라는 오래 된 유산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따라서 한인 이민자 부모들은 종종 교육적 성공이 안정된 삶을 영위하기 위한 효과적인 수단이라고 믿으며 훈련스타일의 양육을 통해 자녀들의 학업 성공에 부단한 노력을 기울인다.

상당수의 한인 부모들에게 있어 자녀들의 학업 성취도는 자신들의 양육 능력의 표식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한인 부모들은 다른 인종 집단들에 비해 자녀들을 위해 보다 많은 것을 희생하는 경향이 있으며 자녀들의 교육에 대해, 즉 자녀들이 어느 대학에 들어가야 하는지, 어떤 전공을 선택해야 하는지, 궁극적으로는 어떤 직업을 가져야 하는지에 대해 일일이 감독하려 한다. 이렇게 된 이유는 한인 부모들이 자녀들의 학업 성취를 장기간에 걸친 가족 투자로 보기 때문이다. 그 결과 한인 부모들은 자녀들이 부모가 갖고 있는 기대치에 부합하지 못했을 때 부모들의 희생에 대해 죄의식을 느끼고 부끄러운 마음을 갖게 만드는 경향이 있다.

한인 이민자 부모들은 미국에서 펼쳐질 자녀들의 미래를 낙관적으로 바라보며 높은 기대치를 갖고 있지만 동시에 아시안 아메리칸이라는 사실이 수반하는 인종 차별에 대해서도 잘 인식하고 있다. 사실상 아시안계 부모들의 상대적으로 높은 교육열에도 불구하고 아시안 아메리칸들이 교육에 대해 쏟은 투자의 경제적 보답은 백인들에 비해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다. 바로 이러한 이유로 한인 부모들은 자녀들이 엔지니어 및 과학 기술직 그리고 의료직과 같은 아카데믹한 직종 혹은 전문직종을 선택하여 인종 차별을 피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Rafe Esquith (center) and the “Hobart Shakespeareans” of the Hobart Elementary School, Los Angeles (Photo from the American Documentary)

심지어 화려한 경력의 강사진을 자랑하는 무수한 학원 광고도 명문 대학 교육과 졸업장이야말로 훗날 자녀들이 좋은 직장을 구하는 데 관건이라는 생각을 부추기고 있다. 주류 사회 언론에 의해 종종 아카데믹 수퍼스타로 칭찬받는 한인 학생들은 자신들의 커뮤니티가 이러한 고정 관념을 지지할 때 더욱 커다란 스트레스를 받는다. 일반적으로 한인 이민자 자녀들은 부모들의 희생을 잘 알고 있으며 고급 기술을 지닌 전문가가 됨으로써 부모들을 기쁘게 해야만 한다고 느낀다. 그 결과 그들은 경제적 안정과 사회적 신분이 보장되는 진로를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인 학생들이 부모의 기대를 충족시킬 것인가 아니면 자신들의 관심과 꿈을 추구할 것인가 사이에서 고민하고 있을 때 부모의 높은 기대는 이들에게 내적인 갈등을 유발시키곤 한다. 한인 학생들이 부모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실패할 경우 이는 학생들의 정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한인 부모들은 자신들의 계급적 배경에 상관없이 자녀들에 대해 높은 기대치를 지니고 있다. 그렇지만 한인 부모들의 교육 전략이 항상 동일한 것은 아니다. 상류층의 한인 부모들은 자녀들을 학원에 보냄으로써 부족한 영어 실력을 보충할 수 있지만 저소득층 지역에 살고 있는 노동 계급 부모들은 장시간 일하거니와 경제적 재원도 부족하여 자신들의 교육적 기대치를 현실화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부모들이 노동 계급인 학생들은 부모들이 지니고 있는 비현실적인 기대치와 요구에 화를 내기도 한다.

참고문헌
1. Fong, Timothy P. (1998). The Contemporary Asian American Experience beyond the Model Minority. NJ: Prentice Hall.
2. Kim, Eun Young (1993). “Career Choice among Second-generation Korean Americans: Reflection of a Cultural Model of Success.” Anthropology & Education Quarterly, 24: 224-248.
3. Lew, Jamie (2006). Asian Americans in Class: Charting the Achievement Gap among Korean American Youth. NY: Teachers College Press.
4. Sue, Stanley, and Okazaki, Sumie (1990). “Asian American Educational Achievements: A Phenomenon in Search of an Explanation.” American Psychologist, 45: 913-920.
5. Yoo, Paula (1992). “Troubled Waters.” A Magazine, 1(4): 53-54.



From the moon that shines bright as a shooting star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Anime Expo 2014 Day 3 I met KOREA COSPLAY QUEEN!